금리란 무엇을 얘기하는 걸까요?
경제용어사전에 금리를 검색해보면 아주 간결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금리 - 돈의 가격
우리가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어떤 물건을 사고 팔때 가격이 존재하듯이, 금융시장(돈을 빌려주고 받는)에서도 가격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금리란 자금이 거래되는 금융시장에서 돈을 빌린 사람이 돈을 빌려준 사람에게 대가로 지급하는 이자금액 또는 이자율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보통 이자율의 의미로 널리 쓰이고 있음)
다시 예를 들어보자면,
은행에서 대출을 받고 난 다음, 빌린 대출을 갚을때 원금 외에 이자를 지급해야 합니다.
이자의 원금에 대한 비율을 이자율이나 또는 금리라고 말하는 것이죠.
돈은 얼마 없는데, 빌리려는 사람이 많으면 금리(이자율)가 오르고,
금리(이자율)가 높아 돈을 빌리는데 많은 비용이 들기에 수요는 점차 줄어들지만,
이자가 많아져 돈의 공급은 늘어나게 되어 결국 수요와 공급이 같아지게 됩니다.
금리체계의 기준이 되는 중심금리를 기준금리라고 합니다. (한국 중앙은행이 금융기관과 거래시 기준이 되는 금리)
한 나라의 중앙은행에서 경제활동 상황을 판단하여 정책적으로 일정 기간마다 결정을 하며, 금융시장에서 각종 금리를 지배합니다. (한국 중앙은행이 금융기관과 거래를 할때 기준이 되는 금리)
쉽게 설명하자면 중앙은행에서 정하는 금리를 기준금리라고 하며, 그 금리를 기준으로 시중은행에서는 개인에게 기준금리 + 은행에서 정한 개인별 신용금리를 더하여 대출을 정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기준금리가 올라가면 어떻게 될까요?
우리가 은행에 맡겨놓은 돈이 있다면, 돈의 이자수익이 늘어나게 되고,
반대로 은행에서 빌린 돈이 있다면, 돈의 이자비용이 늘어나게 됩니다.
기준금리가 내려가면 어떻게 될까요?
은행에 맡겨놓은 돈이 있다면, 돈의 이자수익이 줄어들게 되고,
반대로 은행에서 빌린 돈이 있다면, 돈의 이자비용이 줄어들게 됩니다.
보통 경제가 어려운 시기에는 내수시장을 살리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하여, 국내소비나 투자를 늘려 경제성장을 도모하기도 합니다.
한국 중앙은행은 2020년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제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1.25%에서 0.75%까지 내리기도 했었죠. 하지만 현재 통화정책 정상화에 나선 한국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1.75%로 인상하였습니다.
여기까지 금리와 기준금리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현재(2022년 6월) 우리나라 한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1.75%이며, 다른 나라의 금리는 얼마인지 한번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6월 2일 기준)
미국연방준비은행 1.00%
한국은행 1.75%
유럽중앙은행 0.00%
영국은행 1.00%
일본은행 -0.10%
중국인민은행 3.70%
캐나다은행 1.50%
호주연방준비은행 0.35%
러시아연방중앙은행 11.00%
사우디아라비아 통화청 1.75%
브라질중앙은행 12.75%
인도연방준비은행 4.40%
터키중앙은행 14.00%
남아프리카준비은행 4.75%
아르헨티나중앙은행 42.50%
멕시코은행 7.00%
인도네시아은행 3.50%
아르헨티나중앙은행 42.50% 정말 깜짝 놀랄 금리네요. 아르헨티나는 인플레이션이 2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올해 벌써 네번째나 금리를 인상했다고 합니다.
금리 인상의 주요 원인으로 우크라아니 사태로 인하여 식료품과 에너지 가격이 상승한 탓이라고 밝혔는데요
일단, 돈만 넣어놓으면 연 42.50%이상의 금리를 받을수 있다고 생각하니, 투자방법이 궁금해집니다.
아르헨티나에 투자는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이라는 말도 있으니 신중하게 생각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은행금리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은행들이 비싸게 돈을 빌려오기 때문에 일반 기업이나 시민들에게 한국은행보다 높은 금리로 대출을 해주겠죠? 그래야 은행도 이익이 남을 테니까요.
그러므로 은행금리는 (중앙은행 기준금리 + 은행에서 정한 개인별 신용금리)로 대출을 해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금리와 기준금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