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카테고리 없음

by 똑똑해지기 2022. 6. 1. 16:55

본문

2022년 6월 1일(수)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투표일입니다.

저는 5월 28일 토요일날 사전투표를 마쳤는데요. 이번 지방선거 사전투표율이 20.6%로 역대 최고 투표율이라고 합니다.

요즘 젊은 사람들의 정치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인해 사전투표율이 많이 높아진 것 같습니다.

 

그럼, 오늘 저와 함께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대해 한번 알아실까요?

전국동시지방선거란?

지방자치법에 따라 주민들이 해당 지방의회 의원 및 지방자치 단체의 장, 교육감을 뽑는 선거를 말합니다. 대한민국에서는 1995년 6월에 지방자치단체장의 직선이 이루어짐으로써 본격적인 지방자치시대가 열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특히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영주권을 가진 외국인들도 투표를 할 수 있는 선거입니다.

 

예)

대선 - 대통령

총선 - 국회의원과 비례대표

전국동시지방선거 - 시.도지사, 구.시.군의 장, 시.도 의회의원, 구.시..군의회 의원, 광역의원 비례대표, 기초의원 비례대표, 교육감, 교육의원(제주도에 거주하시는 분들만 투표), 재보궐선거

 

선거일과 선거기간

대한민국의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전투표일은

2022년 5월 27일(은 금)부터 2022년 5월 28일(토)까지 이며, 시간은 매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입니다.

지방선거일은 2022년 6월 1일(수) 법정공휴일로 오전 6시부터 오후6시까지 

선거일 기준 18세 이상의 국민(2004년 6월 2일생까지)이면 본인임을 증명할 수 있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기타 관공서 또는 공공기관이 발행한 사진이 첩부된 신분증을 제시후 투표를 할수 있습니다.

 

법정임기는 4년이며,

선출직으로는 광역단체장, 광역의원, 기초단체장, 기초의원, 교육감입니다.

 

예비후보자등록

시.도지사 및 교육감선거 - 선거일 전 120일부터

시.도의원, 구.시의원 및 장의선거 - 선거기간 개시일 전 90일부터

군의원 및 장의 선거 - 선거기간 개시일 전 60일부터

후보자등록 신청

매일 오전9시부터 오후 6시까지 - 선거일 전 20일부터 2일간

사전투표소 투표 - 선거일 전 5일부터 2일간

 

지방선거의 중요성

대선이나 총선에 비해 (대통령선거나 국회의원과 비례대표 선거) 지방선거는 상대적으로 관심도가 떨어지는 편입니다. 하지만 실제 주민의 삶과 직접적 관련이 되는 정책들은 지방자치단체에서 결정되니 실로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봅니다.

(복지정책이나 지역 편의시설 등의 사안들은 지방자치단체에서 결정짓는 일들임)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 어떤 사람이 출마하고, 어떤 공약을 내세우고 있는지 투표를 하기 전에 꼼꼼히 살펴봐야 합니다.

 

 

7회 지방선거 정당별 결과로는

자유한국당 - 광역(137), 기초(1,009)

더불어민주당 - 광역(652), 기초(1,639)

민주평화당 - 광역(3), 기초(49)

정의당 - 광역(11). 기초(26)

민중당 - 기초(11)

바른미래당 - 광역(5), 기초(21)

무소속 - 광역(16), 기초(172) 였습니다.

 

이번 8회 지방선거 정당으로는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진보당, 무소속이 있으며, 과연 결과는 어떻게 될지 내일이면 확인이 될 것 같습니다.

 

 

이미 시간이 오후6시를 다해가고 있어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지만,

각 후보들의 정책을 확인해 보고자 하신다면,

https://policy.nec.go.kr/

위 사이트로 이동해 정당정책과 후보자공양, 공약이슈트리를 확인해 보실수 있습니다.

 

또한, 후보자토론회를 다시보실 수 있는데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후보자토론회 다시보기는 아래 사이트로 들어가 다시 시청할 수 있습니다.

https://debates.go.kr/2022_middle_vote/index.php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후보자토론회 다시보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후보자토론회 다시보기

debates.go.kr

 

 

2022년 제8회 지방선거는 새 정부가 들어선 만큼 어느 정당이 의석을 많이 차지하여 주도권을 잡게 될지가 주요 포인트라고 합니다,

또한 이재명과 안철수의 국회의원 도전

서울시장 후보로 오세훈 대 송영길

경기도지사 후보로 김동연과 김은혜의 빅매치도 그 결과가 정말 궁금해집니다.

 

** 교육감선거 투표용지에는 정당명과 기호가 없습니다. 꼭 이름을 확인하시고 투표하세요. 

** 코로나19 확진자와 격리자는 오후 6시 30분부터 7시 30분까지 1시간동안 투표를 할 수 있습니다.

** 모든 투표가 끝나면 저녁 8시 전후로 개표를 시작한다고 합니다. 자정쯤이면 당선인들의 윤곽이 나오지 않을까요?

 

 

오늘은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우리의 삶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지방선거에 소중한 한표를 꼭 행사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