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현충일은 무슨날인가요? (6월 6일 공휴일)

카테고리 없음

by 똑똑해지기 2022. 6. 1. 11:03

본문

현충일은 6월 6일이며, 빨간글씨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휴일로만 알고 있는 현충일이 무슨날인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충일은 무슨 날인가요?

현충일은 국토방위에 목숨을 바친 이의 충성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현충일을 검색해보면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고, 순국선열 및 전몰장병의 숭고한 호국정신과 위훈을 추모하는 행사를 하며 조기 게양을 한다. 이렇게 나와 있는데 너무 말이 어려운것 같아서 하나씩 풀어서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한 나라가 존재하는 데에는 많은 전쟁을 치르게 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만 해도 1948년 8월 정부수립 후 2년도 되지 않아 한국전쟁을 맞아 40만명 이상의 국군이 사망했으며, 100만명에 달하는 무고한 일반 시민이 사망하거나 피해를 입었습니다.

 

(한국전쟁이란? 1950년 6월 25일 새벽4시경 북한군의 치밀한 사전 계획에 따라 대한민국을 선전포고 없이 기습 남침하여 발발한 전쟁으로 6.25전쟁이라고 말합니다.우리 국군은 사흘만에 서울을 빼앗기고, 그 해 9월 15일 '인천상륙잔전'으로 다시 서울을 되찾았습니다. 그렇게 빼앗기고 탈환하며 3년간 총 1,129일동안 전쟁을 하다 현재는 휴전중으로 전쟁이 완전히 끝난것이 아닙니다.*휴전-일시적으로 전쟁을 멈춤)

 

1953년 7월 27일 휴전이 성립된 뒤 3년이 지나 어느정도 안정을 되찾기 시작한 정부가 한국전쟁(6.25전쟁)으로 사망한 전사자를 추모하고 기념하려는 의도에서 1956년 4월 19일 대통령령 제1145호로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규정'을 개정하여 매년 6월 6일을 현충기념일로 지정하여, 공휴일로 하고 현충기념일 행사를 거행하도록 하였습니다. 

현충기념일로 불리다가 1975년 12월 현충일로 공식적으로 개칭되었으며, 그 후 1982년 5월 15일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해 법정기념일이 되었습니다.

 

현충일 제정 당시에는 추모대상범위가 한국전쟁(6.25전쟁) 전사자에 한정되었다가 1965년 3월 30일 대통령령 제2092호로 국문묘지가 국립묘지로 승격되면서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친 모든 순국선열의 넋을 기리고 있습니다.

 

 

현충일 행사와 가볼만 한 곳

현충일은 조의를 표하는 날이기에 각 가정이나 기관에서는 반기를 게양하고, 아침 10시 사이렌 소리와 함께 전국민이 1분간 묵념을 하며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에 명복을 빌고 있습니다.

(올바른 국기 게양방법? 태국기의 세로길이만큼 깃봉에서부터 간격을 두고 내려서 게양합니다.)

 

기념행사로는 국립현충원에서 대통령 이하 정부 요인들과 국민들이 함께 참석하여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에 대한 묵념와 헌화, 분향, 헌시 낭송순으로 진행됩니다.

 

 

그럼, 현충일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런 뜻깊은 날 아이와 함께 가볼만한 곳은 어디가 있을까요?

 

국립현충원

서울시 동작구 동작동 271-18 *개방시간: 오전6시 부터 오후 6시까지(연중무휴)

현충원은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이 잠들어 있는 곳입니다. 매년 현충일에는 국립현충원에서 추념행사가 진행되니 아이와 함께 방문해 현충일 참배를 드려보는건 어떨까요?

 

 

독립기념관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 1 *개방시간 오전9시 30분부터 오후 6시까지 (매주 월요일 정기휴무)

(11월부터 2월까지는 오전 9시30분부터 오후 5시까지입니다)

1982년 8월 국민의 성금모금을 시작하여 1986년 5월 9일 독립기념관법을 공포 시행하였으며, 1995년 8월 15일 '통일염원의 동산'을 준공하여 우리 민족의 국난 극복사와 국가발전사에 관한 소중한 자료를 모아 전시해 놓았습니다.

국내 최대 전시시설로 무료 관람이 가능하다고 하니 아이들과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알려주기에 좋은 방문장소라고 생각됩니다.

 

6.25 참천용사 기념공원

인천 강화군 강화읍 용정리 산81-1

6.25 참전용사 기념공원은 2016년에 조성된 국가 현충 시설로 참전용사 기념비를 비롯하여 6.25전쟁 당시 참전한 지원국들의 정보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6.25전쟁 당시 사진과 자료도 볼 수 있다고 하니 아이들에게 사진 자료를 통해 많은 교육이 될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오늘은 현충일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막연히 국가의 발전에 기여하고,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분들의 충성을 기념하기 위한 날이라고 생각했는데, 어떤이들에게는 전쟁으로 인해 사랑하는 가족을 잃은 아픔을 떠올려야 하는 날이기에 마음 한켠이 먹먹해 집니다.

 

6월6일 오전 10시정각 1분간 전국적으로 사이렌 소리가 울린다고 하니, 민방위나 공습경보로 혼동하지 마시고, 우리나라를 위해 목숨 바치신 분들을 위해 함께 머리숙여 조용히 생각하는 시간이 되시길 바래봅니다.